"Clean Control Structures"
- 조건, 루프, 흐름을 제어하는 선언문
- Cyclomatic Complexity : 소스 코드의 복잡도를 나타내는 지표
- V(G) = edge의 수 - node의수 + 2
- V(G) = 분기문의 수 + 1
- 10, 25 이하 권고, 50은 넘어가면 테스트 불가능임
"읽기 쉬운 조건문"
- 왼쪽에 궁금한 대상.
- 왼쪽 항 : 값이 변경될 가능성이 높은 표현/주로 변수의 이름
- 오른쪽 항 : 값이 주로 고정
- 매직 넘버 그 의미를 알 수 없는 임의의 수
"Fail Fast, Early Return"
- 가독성이 좋도록 중첩if 문을 개별 if 문으로 변경하는 것
- 빨리 실패하는 검증로직을 다시 method로 분리하고 예외를 사용함
- if(a==null) return 0;
"최대한 긍정 조건으로 표현하라"
- 어느 쪽이 더 이해하기 편한가요?
- isEmpty(), mIsValidSession,
"Summary"
'Computer Scienc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enkins를 활용한 SW 통합 및 배포 관리 개념 (1) (0) | 2021.05.22 |
---|---|
Clean Code를 위한 Code Refactoring (0) | 2021.05.14 |
Clean Formatting (0) | 2021.05.14 |
Clean Comment (0) | 2021.05.14 |
Clean Code chapter4.3~ (method) (0) | 2021.05.14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