"작고 역할이 명확한 method"
- 기본적인 라인수를 20라인을 넘기지 않도록 할 것
- 크기 만으로 함수의 품질을 판단 할 수 없다
- 중요한 것은 지속적인 개선
- Method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내부에 주석을 달아야 하면 Bad smell 임
"한 가지의 명확한 역할"
- 한 가지의 일을 한다는 것이 정확히 어떠한 의미인가?
- 하나의 method는 동일한 추상화의 수준만 가져야 한다.
- Higher level code -> what
- Lower level code -> how
- Method의 이름이 책임지는 범위의 일만 해야 한다
"중복 코드"
- 다수의 method의 구현부가 100% 일치하는 경우
- 불필요하게 코드 베이스를 크게 만듦
- 정적 분석 : 중복 코드를 찾아내는 정적 분석 도구를 화룡 CPD, Atopmiq
- 다양한 Refactoring 전략 및 Design Pattern 적용
"깨진 유리창 이론과 Clean Code"
"보이스카우트 법칙과 비자아적 프로그래밍"
- 엔지니어 개개인의 요소들을 최대한 제거함으로써 전체 SW 품질을 높이는 문화
"Method 측정 지표"
- 조직에서 Bad smell의 기준을 정하고 이를 넘는 Method 검출
- 평균/표준편차 등을 측정한 후 아웃라이어 검출
- Cyclomatic Complexity : Method 내부의 복잡도를 측정하는 지표
"Summary : Clean Method"
'Computer Scienc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lean Formatting (0) | 2021.05.14 |
---|---|
Clean Comment (0) | 2021.05.14 |
파이썬 데코레이터 (0) | 2021.05.13 |
Jenkins를 활용한 SW 통합 및 배포 관리 chapter 1~1.4 DevOps 개념 이해 (0) | 2021.05.08 |
Clean Code chapter 1~4.3 Clean Method의 크기 (0) | 2021.05.08 |
댓글